스마트폰 사회풍자형 게임에 열광하는 청년들
나는 거지다. 휴지통과 깡통만이 나의 벗이다.’
모바일게임 ‘만수르 게임’을 실행하면 게임 주인공이 거지 캐릭터로 시작된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1초마다 5000원씩 자동으로 ‘사이버머니’가 늘어났다. 게임 화면에 보이는 ‘수익률 5000’이 의미하는 바가 이를 뜻한다는 사실을 잠시 뒤 눈치챘다.
하늘에서 돈주머니가 떨어졌다. 손가락으로 스크린의 돈주머니를 터치하면 6000원, 1만 원 등이 표시됐다. 사이버머니는 자동 증가분에 더해 그만큼 추가로 쌓였다.
게임을 시작한 지 1분 30초 정도 지났을까. 내가 보유한 사이버머니는 50만 원을 넘어섰다. 화면에 보이는 ‘업종 변경’을 터치했다. 업종 변경을 위해서는 50만 원이 필요했다.
수익률은 5000에서 6000으로 올랐다. 초당 벌어들이는 돈이 5000원에서 6000원으로 올랐다. 동시에 스크린에서 구걸하던 거지는‘거리의 악사’로 변신했다. 돈을 벌어서 업종 변경을 하는 것이 이 게임의 목적인 셈이다.
화면에 보이는 ‘매출 증가’를 터치해 봤다. 10만 원이 차감됨과 동시에 수익률은 6000에서 7800으로 올랐다. 이따금 돈주머니와 함께 복권도 떨어졌다. 긁으니 1만 원 당첨. 때로는 ‘꽝’도 나왔다. 다음 업종 변경을 위해서는 150만 원이 필요했다. 어느 순간 거리의 악사 말고 또 어떤 직업으로 변신할지 기대하게 됐다.
거지로 시작해 아랍에미리트(UAE) 국제석유투자회사 사장이자 왕족인 거부(巨富) 셰이크 만수르 빈 자이드 알 나하얀 같은 부자가 된다는 ‘만수르 게임’부터 광부인 아버지가 힘겹게 돈을 모아 갓난아이를 건장한 성인으로 키운다는 ‘한국에서 아기 키우기’까지. 돈과 성공만을 좇는 사회 분위기와 일자리, 육아 등의 사회 문제를 희화화한 ‘사회 풍자형’ 모바일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
정 대표는 “(현실풍자 게임은 대체로) 화면을 두드리며 돈을 버는 일종의 ‘막노동 게임’이다. 게임업계에서는 새로운 장르다. 작은 게임 개발사는 대형 게임회사에 비해 아이디어가 신선하다.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작은 게임회사가 성공하면 일자리 창출 등 산업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낸다”고 말했다.
전체기사 링크:
http://news.donga.com/3/all/20160116/75929483/1